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I'm fine thank you
- 오라클
- DBMS 구성요소
- oracle
- db
- 봄 사랑 벚꽃 말고
- index
- 레이디스코드
- 기타
- 데이터베이스
- 니가 참 좋아
- 오라클 아키텍처
- 인덱스
- 아이유
- 천공의 시간
- 슬픔의 후에
- SQL 처리
- 스위트라떼
- 핑거스타일
- 러블리즈
- IT
- 말 더듬
- Inside Of Me
- 악보
- 장범준
- nginx
- 신입
- 개발자
- DBMS
- 6학년 8반 1분단
목록공대인/Theory (10)
취미로 음악을 하는 개발자
TOPCIT 글과 관련된 모든 내용은 TOPCIT 에센스에서 참고하여 정리했습니다.
1. 최대공약수(GCD, Greatest Common Divisor): 주어진 두 정수의 약수 중에서 가장 큰 공통약수ex) 280과 30의 GCD는 10이다.- 소인수분해를 통해 GCD를 구할 수 있다.- 관련 법칙GCD(u, v) = GCD(u-v, v), if u > v280, 30일 때 250, 30의 최대공약수와도 같다.GCD(u, v) = GCD(v, u)280, 30이나 30, 280이나 최대공약수는 같다.GCD(u, 0) = u280, 0 2. 유클리드 알고리즘: 임의의 두 정수 u, v에 대해1) v가 u보다 크면 v와 u의 값을 바꾼다.2) u = u - v3) u가 0이면 v가 최대공약수, 0이 아니면 1)로 돌아감ex) GCD(280, 30)GCD(250, 30) - 1)GCD(22..
- 메모리 계층구조 - 캐시 메모리 : CPU에 읽어 들인 데이터들로 채워지는 버퍼, CPU와 메모리의 속도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존재함 ㄴ Locality of Reference, 참조 지역성 : CPU가 한 번 참조한 데이터는 다시 참조할 가능성이 높고 주변의 데이터 역시 참조될 가능성이 높다 -> 자주 쓰는 데이터를 캐시에 두고 데이터를 전달 - 메모리 사상, Mapping : CPU의 가상 주소를 MMU를 통해 물리 주소로 변환하여 메모리에 전달 캐시에 해당 주소의 데이터 확인 후 캐시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에 따라 물리 주소를 달리 해석가능 - 캐시 사이즈 ex) 32비트 캐시 2^n개 블록, 인덱스 필드 : n개 블록 크기 : 2^m개 워드, m개 비트는 블록내부에서 워드를 구분하는데 사용 ..
- CPU, 중앙처리장치> 동작 1. 주기억장치는 입력장치에서 입력받은 데이터 또는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읽어옴 2. CPU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주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읽어와 처리 후 결과를 다시 주기억장치에 저장 3. 주기억장치는 처리 결과를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거나 출력장치로 내보냄 4. 제어장치는 1 ~ 3 과정에서 명령어가 순서대로 실행될 수 있도록 각 장치를 제어 - PC, Program Counter: 다음에 수행할 명령어가 저장된 주기억장치의 번지를 지정 - MAR, Memory Address Register: 주기억장치에 접근하기 위한 주기억장치의 번지를 기억 - MBR, Memory Buffer Register: 주기억장치에 입/출력할 자료를 기억하..